목록Java (4)
I'm Prostars

자바로 개발된 프로젝트를 유지 보수하다 보면 Object Serialization, Deserialization이 사용된 코드를 흔하게 볼 수 있다. 간단하게 Serializ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했거나 Externaliz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JSON 등의 다른 포맷으로 영속화를 시켰는지는 여기서 중요하지 않다. serialVersionUID를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고 생략했다면, 모두 동일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문제는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발생한다. A 객체를 직렬화하여 Redis나 DB 등 외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A 객체로 역직렬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어느 날 A 객체에 필드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수정을 한다. 새로 빌드한 서비스에서 수정된 A 객체로 외부에 저장된 값을 역직렬화하..
최근에 Java 를 실무에 사용하면서 JShell 이 있어서 참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IntelliJ 가 JShell Console 이라는 기능으로 툴 안에서 JShell 을 연동해주고 있어서 더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JShell 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유용함을 알아보자. 이 글은 macOS 를 기준으로 하며 다음의 내용을 다룬다. JShell 에 대한 간단한 소개Java 8, 9, 10 를 손쉽게 전환하면서 사용하는 방법IntelliJ 의 JShell Console 사용하기IntelliJ 의 JShell Console 에서 사용자 클래스 사용하기 JShell 에 대한 간단한 소개JShell 은 node.js 의 shell 이나 scala 의 shell 처럼 코드를 바로바로 실행하..
지난 글에서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다. 이번 글에서는 다른 방식의 의존성 주입인 케이크 패턴을 소개한다. 스칼라의 케이크 패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 바란다.케이크 패턴스칼라의 케이크 패턴을 자바에서 사용해보자. 케이크 패턴은 의존성 주입의 한 방법이다. 자바 8에서는 인터페이스가 구현 코드를 담은 디폴트 메소드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이 디폴트 메소드를 이용하면 스칼라의 trait 와 비슷해진다. 비록 trait 의 셀프 타입을 사용할 수는 없지만, 어차피 자바는 스칼라처럼 with 를 사용하여 객체 생성 단계에 와이어링을 할 수 없으니 상관없다.공통 구성로그 기록을 담당하는 Logger, 설정 로딩을 담당하는 Configuration 가 ..
Mac 에서 개발 환경을 설정하던 중에 ZeroMQ 에 종속성을 가진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일이 생겼다.이거 하나 때문에 윈도를 다시 개발 환경으로 사용하고 싶지는 않아서 ZeroMQ 를 Mac 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찾았고 아래에 정리했다. ------------------------------------------------------------------------------------------1. brew 설치https://brew.sh/index_ko.html 2. jzmq 빌드에 필요한 툴들 설치brew install autoconfbrew install automakebrew install lib toolbrew install pkg-configbrew install ze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