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의 첫 온라인 강의가 이제 마지막 파트까지 모두 오픈되었습니다.
새로운 개념이나 기능을 프로젝트에 적용할 때마다 이해를 돕기 위한 예제를 만들면서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10여 개의 예제를 만들었습니다.
1개의 모놀리스 프로젝트로 시작한 채팅 시스템을 기능별로 스케일 아웃할 수 있도록 4개 역할(Authentication, Connection, Message, Push)로 분리하는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강의 마지막에는 로컬 환경에서 22개의 컨테이너와 8개의 서버 인스턴스로 채팅 시스템을 구성했습니다.
강의 파트 5에서 완성된 프로젝트는 약 12,000 라인의 코드를 가지면서 다양한 인프라스트럭처(Consul, Nginx, MySQL, Redis, Kafka)를 연동하는 단일 강의 예제 프로젝트로는 제법 큰 규모가 되었습니다.
시작할 때 20~30시간 정도로 예상했던 분량은 만들다 보니 약 55시간의 생각보다 긴 강의가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는 내용이길 바랍니다.
https://fastcampus.co.kr/dev_online_chat
대규모 채팅 플랫폼으로 한 번에 끝내는 실전 대용량 트래픽 커버 완전판 | 패스트캠퍼스
전 카톡 서버 운영자가 알려주는 채팅 플랫폼 기반 '대용량' 트래픽 처리
fastcampus.co.kr
반응형
'I'm prosta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인시 도서관 휴먼북 인터뷰 (0) | 2025.06.04 |
---|---|
저의 첫 온라인 강의가 론칭되었습니다. (3) | 2025.01.24 |
휴먼 라이브러리 소개 (0) | 2024.06.16 |
ChatGPT를 영어 연습 챗봇으로 사용해보기 (2) | 2023.02.22 |
카카오 사내 Tech talk 발표 (2) | 2023.01.19 |